오늘은 디렉터리를 만들고, 지우는 명령어들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1. mkdir
mkdir은, 이름 그대로 dir, 즉 디렉터리를 만드는 명령어입니다.
옵션은 다음과 같이 있습니다.
옵션 | 설명 |
-m | 권한 설정 |
-p | 상위 경로 설정 |
-v | 디렉터리 생성 후에 디렉터리 메시지 출력 |
바로 한번 실습해 보죠.
"mkdir 디렉터리생성" 이라고 입력했더니 "디렉터리생성"이라는 디렉터리가 생겼습니다.
2. rmdir
이번에 소개해드릴 명령어는 rmdir입니다.
이건 아까 소개드린 mkdir과는 완전히 반대되는 명령어인데, 이 명령어는 디렉터리를 지우는 명령어입니다.
이 명령어는 한계가 있는데요, 바로 빈 디렉터리만 지울 수 있다는 겁니다.
안에 파일이 하나라도 들어있다면 작동하지 않아요.
안에 있는 파일까지 한번에 없애고 싶으시다면 이 뒤에 소개드릴 rm -r 명령어를 사용하시면 됩니다.
그건 그렇고, 바로 실습해 볼까요?
"디렉터리생성"이라는 디렉터리가 삭제되었습니다!
3. rm
이번에는 뒤에 dir이 붙지 않았습니다!
그게 무슨 뜻일까요?
바로 디렉터리 외의 폴더, 파일 등도 지울 수 있다는 뜻이죠!
옵션은 다음과 같습니다.
옵션 | 설명 |
-f | 질의 메시지 없이 강제로 삭제 |
-i | 삭제 시 사용자에게 질의 |
-r | 삭제 디렉터리가 포함하고 있는 하위 디렉터리 포함 모든 파일 삭제 |
아까 제가 rmdir 설명할 때, 안에 있는걸 전부 지우고 싶다면 rm -r을 사용해야 한다고 했었죠?
-r 옵션은 안에 있는 모든걸 삭제합니다.
바로 실습해 볼까요?
touch 명령어로 안에 파일들을 넣으니 rmdir로는 지워지지 않습니다.
그러나 rm -r을 써보았더니 아주 잘 지워지는 것을 보실 수가 있습니다.
오늘은 리눅스 명령어 중에 디렉터리를 관리하는 명령어들을 알아보았습니다.
지금까지 봐주셔서 감사합니다.
도움되셨다면 구독, 하트 부탁드려요!
'리눅스 > 기본 명령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리눅스] 시스템을 종료해보자 | shutdown, init, reboot, halt (0) | 2021.02.20 |
---|---|
[리눅스] 현재 시간과 날짜를 봐보자 | cal, date (0) | 2021.02.18 |
[리눅스] 디렉터리/파일 내부로 들어가보자 | pwd, cd, ls (0) | 2021.02.16 |
[리눅스] 사용자를 생성하고, 비밀번호를 바꾸고, 로그인해보자 | useradd, passwd, su (0) | 2021.02.15 |
[리눅스] 도움말을 읽어보자 | man, info, whatis (0) | 2021.02.13 |